서방의 지원이 없었다면 Zelensky는 전쟁에서 한 달도 버틸 수 없었을 것입니다. 지원의 흐름이 마르면 그가 과연 며칠이나 버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단연코 불가합니다. 소개의 변) 전쟁의 최대 희생자는 바로 진실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서방 주류언론들의 보도를 그대로 복사하여 소개하고 있는 한국의 미디어들에 의해 가려져 있는 우크라 전쟁 팩트와 진실의 파편을 알리는 몇 개의 […]
READ MORE소개의 변) 전쟁의 최대 희생자는 바로 진실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서방 주류언론들의 보도를 그대로 복사하여 소개하고 있는 한국의 미디어들에 의해 가려져 있는 우크라 전쟁 팩트와 진실의 파편을 알리는 몇 개의 기사들을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기사는 비록 서방의 입장을 지지하는 시각에서 작성되었지만 우크라 전쟁에 투입되고 있는 미국과 서방의 엄청난 지원규모 실체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Thomas […]
READ MORE소개의 변) 하버드 대학의 케네디 스쿨을 총괄하고 대표하는 스티븐 월트 교수는 영미계의 E.H. Carr, 키신저, 미어샤이머를 이어 현실주의 정치학 입장을 단단히 견지하고 있는 인물로 현재로 국제관계학계의 구루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인으로서 조국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헌신을 보이면서도 현실에 대한 치밀하고 냉정하며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현실정치인들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다른백년은 월트 교수의 […]
READ MORE소개의 변) 높은 인플레가 잠정적인 것인지 또는 상당기간 장기적으로 진행될 것인지 논쟁이 분분한 가운데 올 한해가 세계경제 방향의 주요한 분기점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향후 전망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들이 엇갈리게 나오고 있다. 일단 세계경제에 대한 공식전망 기구인 IMF는 성장률을 2.7%(2.5%이하이면 공식적 불황국면)로 제시하면서 불황의 진입을 예고한 셈이다. 한가지 일치하는 것은 코로나-제로 정책에서 벗어나는 중국경제의 […]
READ MOREXin-Ping, CGTN Xinhua 및 Global Times에 정기적으로 기고하는 국제문제 해설자이다 출처: CGTN, 2022년 10월 17일자 소개의 변) 미국이 자신의 패권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펼치는 패악질이 너무나 지나치다. 다면적 군사외교의 협박과 과시를 넘어서 중국봉쇄를 의도한 디커플링을 포함하여 일방적인 고금리 정책에 이어 ‘인플레감축법IRA’와 ‘칩과 과학 법안’ 등을 시행하면서 개방경제에 기초한 한국을 포함하여 동맹과 주변국들의 산업구조를 심각하게 […]
READ MORE알람 살레, 시드니에 있는 호주국립대학교ANU 내의 아랍이슬람 연구센터의 전문연구원 출처: 동아시아 포럼 소개의 변) 지난 주 국제상황과 관련한 여기자의 질문에 대하여 바이든은 이란과 핵협상은 실패하였으나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응하여 이란은 러시아와 중국과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상해협력기구SOC에 정식으로 가입하였다. 이란의 움직임과 향후 전망을 알리는 칼럼을 소개한다. 중국의 눈부신 […]
READ MORE제프리 D. 삭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지구연구소(Earth Institute)를 이끌었던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의 교수이자 지속가능한 개발센터(Cent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소장이다. UN 광역개발위원회 위원장, 바티칸 교황청 사회과학 아카데미 학자이기도 한 그는 세 명의 유엔사무총장의 특별 고문을 역임했으며 현재 구테흐스 사무총장 밑에서 SDG 옹호자로 활동하고 있다. 출처: 미국진보시민사회포탈인 CommonDreams, 2022년 12월 5일자 협상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을 […]
READ MORE스티븐 M. 월트 (Stephen M. Walt) ,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로 국제외교의 현안에 관하여 현존하는 구루로 평가되고 있으며 포린-폴리시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쓰고 있다 출처: 포린-폴리시, 2022년 11월 29일자 전쟁은 불확실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희박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누구도 어떤 것이 최적의 행동방침이 무엇인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우리 모두는 […]
READ MORE에드워드 알덴 Edward Alden , Foreign Policy 의 칼럼니스트 ,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의 객원 교수이자, 외교관계위원회의 선임 연구원이다 출처 : 포린-폴리시, FP 2022년 12월 05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거의 2년 만에 미국과 유럽 동맹국 사이에 경제정책에 대한 큰 균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균열을 능숙하게 처리하지 않는 한, 유럽 […]
READ MORE니콜라스 베클린Nicholas Bequelin, 현재 Yale Law School의 China Center 객원 교수로 과거 국제앰네스티의 아시아 국장과 휴먼라이츠워치의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세계질서의 미래에 관한 책을 집필하고 있다 출처: 알자지라, 2022년 12월 5일자 바이든의 주장처럼 “세계는 민주주의와 독재”로 나누어지지 않습니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접근 방식은 위험할 정도로 대결적입니다. 우크라이나 분쟁의 해결은 러시아를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이는 […]
READ MORE스티븐 S. 로치(Stephen S. Roach)는 현재 예일대학교 교수이자 과거 J.P. Morgan의 아시아 지역책임자를 역임했으며 Unbalanced: The Codependency of America and China (Yale University Press, 2014) 및 Accidental Conflict: America, China, and the Clash of false narratives (Yale University Press, 2022) 등의 저자이다 출처: 신디케이트-프로젝트, 2022년 11월 28일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
READ MORE애덤 투즈 Adam Tooze, 뉴욕소재 컬럼비아 대학교의 유럽연구소 소장이자 FP의 외교정책의 고정 칼럼니스트이다 출처 포린-폴리시 FP, 2022년 11월 17일자 며칠 전에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의 진행은 대본대로 잘 진행된 듯 합니다. 세계화의 전성기에 구상된 주요 국가의 정상들이 신냉전의 그늘 아래서 처음으로 직접 만났습니다. 회의 직전의 예감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 및 […]
READ MORE다니 로드릭 Dani Rodrik, 하버드 케네디 스쿨 국제정치경제학 교수로 국제경제협회(Inter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회장이자 『무역에 대한 솔직한 대화: 건전한 세계경제를 위한 아이디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의 저자이다 출처: 신디케이트-프로젝트, 2022년 11월10일자 소개의 글) 현재 전세계를 불황과 미궁의 상황으로 빠져들게 한 가장 큰 원인은 미국을 포함한 서방제국들의 장기간에 걸친 양적완화 정책과 자국주의를 안보구실로 포장한 대중봉쇄 […]
READ MORE일자야티 고쉬 Jayati Ghosh, 인도계 출신으로 Massachusetts Amherst 대학의 경제학과 교수이자 효과적인 다자주의에 관한 UN사무총장의 고위급 자문위원회 위원이다. 출처: 프로젝트-신디케이트, 2022년 11월15일자 소개의 글 : 현재 전세계를 불황과 미궁의 상황으로 빠져들게 한 가장 큰 원인은 미국을 포함한 서방제국들의 장기간에 걸친 양적완화 정책과 자국주의를 안보구실로 포장한 대중봉쇄 등의 공급사슬망 혼란으로 발생한 과잉 유동성과 공급부족, […]
READ MORE가디언 전문기자단, Fiona Harvey과 Patrick Greenfield in Sharm el-Sheikh 작성일자: 2022-11-14 소개의 글) 지난 파리기후협약에서 약속한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지원재정 연간 1,000억불이 아직도 이행되지 않는 가운데, 아프리카 이집트에서 열린 이번 COP27 기후정상회담이 남반구와 북반구 특히 미국과 이해관계의 충돌로 별성과 없이 끝날 전망인 가운데, 더구나 화석에너지 산업의 로비스트들이 그린워싱의 밑작업을 강화하고 있는 와중에, 아래 소개하는 […]
READ MORE소개의 변) 동맹인 미국과 국내의 일부 거센 반대여론 그리고 녹색당과 충돌로 집권연합이 붕괴될 우려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수상 숄츠는 과감하게 중국을 방문하여 양국간에 실질적인 협력을 다짐하였다. 한국에게는 분단극복과 산업강국으로 모범적 좌표인 국가의 지도자로서 숄츠 행보는 가히 한국과 윤가에서 충격적인 가르침을 제공하고 있다 – 독일의 주권적 선택은 유럽을 통제하고자 하는 미패권이 쳐놓은 쇠우리를 박차고 우크라 […]
READ MORE누리엘 루비니, New York University 경제학 명예교수이자 Atlas Capital Team의 수석 경제학자, Roubini Macro Associates 의 CEO, TheBoomBust.com의 공동 설립자, 그리고 최근 출간된MegaThreats: 우리의 미래를 위협하는 10가지 위험한 추세(Brown and Company, 2022)의 저자이다. 클린턴 행정부시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ouncil of Economic Advisers)에서 국제문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냈고, 국제통화기금(IMF),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근무했다 출처: 프로젝트 신디케이트, 2022-11-04 […]
READ MORE크리스 브래들리, McKinsey Global Institute의 이사이자 시드니 McKinsey & Company의 수석 파트너입니다 출처: 프로젝트 신디케이트, 2022-10-31일자 건강, 부의 축적, 교육의 눈부신 발전과 글로벌 상호연결의 심화로 인해 사람들의 생활여건은 전반적으로 훨씬 나아졌습니다. 그러나 세계는 격동의 새로운 시대에 접어 들었고, 이로부터 향후 어떤 새로운 규칙과 제도가 등장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시드니 – 시대에 따라 수십 년 […]
READ MOREDr. Keyu Jin, 런던정경대학의 부교수로 정치경제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The New China Playbook: Beyond Socialism and Capitalism”의 저자이다 출처: 뉴욕타임즈, 2022년 10월27일자 베이징: 10월 초 바이든 대통령이 첨단 반도체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전면적인 수출통제를 시행하기로 한 결정은 기이하게도 시행시기가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를 며칠 앞둔 시점이었습니다. 이에는 분명한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미국의 […]
READ MORE출처 : Tech Wire Asia 시드니 국립대학교 ANU 편집위원회 2022년 10월 31일 현재 진행 중인 미-중 지정학적 경쟁에 대한 이해관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미국은 지난 10월 7일 주요 마이크로칩 기술을 중국 기업들에 이전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칩의 대중수출 금지로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군사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국에 대한 봉쇄전략에 전념하고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