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1
  • 국제사회에서 추락하는 달러화
  • 어른이 된다는 것
  • 글로벌 금융 위기를 제대로 이해하기
  • 미국의 은행위기에서 중국이 얻는 반사이익
  • 커뮤니티 변천사: 1.0부터 3.0까지
       
후원하기
다른백년과 함께, 더 나은 미래를 향해

홍콩의 오래된 거리 셩완(上環)에는 지금도 샥스핀이나 제비집, 녹용같은 물건을 거래하는 약재상과 건어물가게가 많다. 예전 화인무역상들이 남북의 물건을 교역하던 ‘남박홍/난베이항(南北行)’의 흔적이다. 여기서 북은 광둥성 북쪽의 중국대륙 전체를 의미하고, 남은 동남아시아, 그 중에서도 싱가폴과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등을 칭하는 남쪽바다 ‘난양(南洋)’ 그리고 서양을 뜻한다. 중국에서 흔히 말하는 남방과 북방은 대륙을 가로지르는 장강이나 친링(秦嶺)/화이허(淮河)를 경계로 한다. 하지만 스스로를 “진짜 […]

READ MORE

    “중국업체와의 경쟁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냐고요? 저도 답이 없죠.” 경남지역의 용접노동자 출신 작가 천현우씨의 <쇳밥일지>북토크를 우연히 유튜브로 보고 청년세대 혐중감정의 가장 큰 원인은 역시 ‘먹고사니즘’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 천현우씨는 경남지역의 여러 중소기업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로 근무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을 날것의 경험 그대로 털어 놓았다. 수도권과 지방, 정규직과 비정규직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한국의 이중경제 구조속에서 후자에 […]

READ MORE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자로 공식선거운동을 시작하던 날 “제 주변의 부패도 읍참마속泣斬馬謖하는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큰소리를 쳤다. 그런데 그의 당선에 적지않은 기여를 한 2030세대는 과연 이 사자성어의 의미를 알아들었을까? 소설 삼국지(三國演義)를 읽어보지 않았다면, 제갈량이 가정전투에서 군령을 어기고 경솔한 작전을 펼쳐 북벌의 실패를 자초한 ‘최애‘부하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수했다는 이야기를 모를 수도 있기에 하는 말이다.      인터넷 […]

READ MORE

    마라훠궈나 판다로 연상되는 쓰촨성 청두(成都)는 사실 중국을 대표하는 ‘슬로우시티’이다. 촉(蜀)의 수도이기도 했던 이 지역은 천혜의 요새이면서 비옥한 청두평원 덕에 이천년간 장강 상류의 문화와 상업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두보초당(杜普草堂)과 같은 역사적이고 아름다운 장소를 배경으로 촬영된 정우성 주연의 영화 ‘호우시절(好雨時節)’에서 그 분위기를 살짝 맛볼 수도 있다.   청두는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한 탓에 하류의 동남연안도시들로부터 서방문물의 전파는 […]

READ MORE

  (전편에서 이어짐)   그렇다면 도시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비례해서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각종 도시병은 어떻게 치유해야 할까? 루밍은 기술과 관리가 뒷받침하는 다양한 정책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규제는 ‘사람’자체가 아니라 문제를 일으키는 특정한 ‘행위’를 타겟으로 삼아야 한다. 국부수술을 하듯 세심하게 쪼개서 문제와 대책에 접근해야 한다. 중국 각급정부의 관료주의적 행태는 문제가 발생하면 […]

READ MORE

  중국 최초의 도시청년 귀농기라 할만한 <촌스럽지 않은 촌살이(土里不土氣)>에서 리(里)는 일본말 사토야마(里山)에서 따온 제목이다. 마을사람들이 땔감과 식량 등을 얻는 부근의 산을 뜻한다. 일본의 농촌지역 환경과 전통생활문화를 설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이라 타이완을 통해서 중국에도 널리 알려졌다. 인공물로 가득한 도시도 원시림의 야생도 아닌 인간의 문명과 자연이 어우러져 사는 공간을 의미한다. 생물학을 전공하고 노르웨이에서 서로 알게 […]

READ MORE

  (전편에서 이어짐) 한편 오구라 기조는 한국인들의 도덕지향을 일본인들과 비교하면서 다양한 예를 들어 알기쉽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밋밋한 감성적 취향의 서사와 달리, 한국의 드라마속 주인공들은 하다못해 연애를 하면서도 끊임없이 도덕적인 투쟁을 하는 진짜 ‘드라마’를 만들기 때문에, 일본인들조차 매료된다고 설명한다. 그는 일본에서 도덕지향이 강한 사람들은 엘리트들뿐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이렇게 설명하면 보통 일본 사람들이 한국 등 이웃나라와의 […]

READ MORE

  이태원 참사 (10.29도 괜찮은데 나는 숫자 기억력이 나빠서 그냥 이렇게 부르기로 했다. 특별히 다른 뜻은 없다.) 발생 이후, 많은 사람들이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 같다. 나도 이를 참지 못해 최근 두명을 ‘페삭’했는데 이 분들은 수천명의 ‘페친’을 가진 중장년의 명망있는 시니어 활동가들이다. 이분들은 평소에도 좀 과격한 언사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었는데 활동을 하면서 받은 여러가지 […]

READ MORE

  한국과 중국은 흔히 대단히 다른 사회라고 여겨진다. 그런데, 대도시의 청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는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빠르게 수렴한다. 나는 2007년에 베이징을 떠났을 때와 2015년 상하이로 돌아왔을 때, 외형적으로 경천동지할 변화를 느꼈다. 불과 10년도 안되는 사이에 이렇게 많이 바뀐 것이 믿기지 않았다. 2007년의 베이징은 한국과 20년정도는 차이가 나는 것 같았는데 2015년의 상하이는 그 차이가 10년도 […]

READ MORE

  <중국의 고추 식문화역사 中國食辣史, 2019>라는 대륙책의 번체(繁體)자판 타이완 출간이 최근 작은 소동을 불러 일으켰다. 출판사가 에디터의 ‘모두 바꾸기’ 기능을 이용해 ‘대륙’이란 표현을 ‘중국’이라 치환하고 인쇄했는데, “콜럼버스가 발견한 신중국“이라는 문장을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화권에선 대륙이란 표현이 곧 중국을 의미하는 관행 때문에 벌어진 해프닝이다. 이런 기호적 의미와 물자의 용도 치환은 중국인들이 처음 고추를 받아들였던 명나라 […]

READ MORE

  지난번 글에서 약속한대로, 샹뱌오 선생의 대담집 “방법으로서의 자기”에 대해 번역자 나름의 생각을 보태보려 한다. 책은 현재 인쇄중이며 10월내로 시중 서점에 풀릴 예정이다. 첫번째 주제는 “동아시아 공동체”, 소위 ‘한중일’의 관계에 대한 소고이다. 여기서 과거 한중일의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을 복기할 생각은 없다. 그리고, 샹뱌오는 “동아시아 공동체”담론을 지지하는 입장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는 이 생각이 인위적인 설정이라고 생각하기 […]

READ MORE

  법조엘리트를 키워낼 목적으로 설립된 중국정법(政法)대학의 형법연구자 뤄샹교수는 사법고시 준비학원의 ‘일타강사’이기도 하다. 2003년 박사과정시절부터 가계를 돕기 위해 ‘알바’로 시작한 일이었기에 대학에서 정교수로 승진한 후에는 그만두려고 했다. 하지만, 수십만명의 사법고시 준비생에게 법치주의 이념을 알리는 수단으로는 이 편이 더 효과적이지 않냐는 주위의 권고를 받아들였다. 형법기초 온라인강의가 2020년 중국의 유튜브 삐리삐리에서 갑자기 인기를 끌며 그는 셀럽지식인으로 떠올랐다. 국민적 […]

READ MORE

미국과 중국에서 중국정치를 공부하고 있는 한 페친과 페북상에서 제법 긴 토론을 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오피니언 리더 계층”으로부터 여론을 수집하고 반영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자기 생각을 짧게 정리해서 공유했다. 내가 여기에 커멘트를 달면서 긴 댓글 토론이 이어졌다. 이 내용에 대해서 나는 별로 아는 바가 없다. 그러니 내 의견을 밝히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겠다. 확실히 중국에도 […]

READ MORE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한국영화’ <브로커>가 송강호 배우에게 깐느 남우주연상을 안겨주었다는 보도를 보고 소박한 의문이 하나 생겼다. 일본인 거장의 ‘유사가족’이라는 주제의 연작중 하나이고 각본도 그의 것인데, 그냥 한국영화라 불러도 좋은 것일까? ‘미나리’나 ‘파친코’의 성공에 열광하는 한국인들에게 이 영화를 기획하고 제작한 ‘해외교포’ 문화인들이 한 국내 일간지의 컬럼을 통해 같은 질문을 제기한 적이 있는데 (“‘파친코’를 K-드라마로 보는 시각에 […]

READ MORE

딱 10년만이다. 두번째 책을 번역하면서 첫번째 책을 번역할 때의 기시감을 느꼈다. 나는 당시 조한혜정 선생의 권유로 일본 도치기栃木현 나스那須라는 농촌지역에 있는 비전화공방非電化工房이라 불리는 자급자족생활교육센터에 머물고 있었다. 센터 설립자 후지무라 선생의 책을 한국어로 번역했다. “3만엔 비즈니스”라는 제목의 농촌생활 마이크로비즈니스 독본이었다. 당시 생활을 통해 교육내용을 배우고 실천하면서 동시에 텍스트를 번역하고 있었기 때문에 말과 글과 삶이 일치하는 것에 […]

READ MORE

출처 : abc17news■ 사회: 이오성 기자(시사IN) ■ 대담인: 샹바오 교수, 이병한 박사, 임명묵 작가 ■ 장소: Zoom을 통한 인터넷 미팅 ■ 통역: 김유익(중→한통역), 우자한牛紫韓(한→중통역) ■ 정리: 김명준 ■ 대담 일시: 1부 2022년 4월 19일 / 2부 2022년 4월 22일 이 대담의 내용 일부는 시사IN에 기사로 발표된 적이 있음 (제 766호 “러시아의 국뽕에서 한중이 위기를 읽다”) […]

READ MORE

40일 넘게 전주민의 자택격리가 진행중인 상하이를 가까스로 탈출해 유럽으로 돌아온 벨기에 청년이 유창한 만다린으로 질문을 던진다. “왜 중국시민들은 이런 부당한 정책을 펼치는 정부에 대해 저항하지 않는 거죠?” 중국판 유튜브 비리비리에선 하루만에 삭제됐지만 유튜브에선 여전히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상하이에 10년 넘게 거주하는 한국인 지인이 입에서 불을 뿜는다. “우리 아파트에 사는 한 고위공무원 가족이 양성판정후에도 격리시설에 안가고 버티면서 줄줄이 확진되는 통에, 보름넘게 단지내 산책도 못하고 있어요. 그중 한명은 주민들 […]

READ MORE

“중국인들은 평화로운 시기엔 루쉰을 읽지 않습니다. 진실(無真相), 컨센서스(無共識), 분명한 것들(不確定)을 찾을 수 없는 지금과 같은 환란의 시기에 그를 찾죠.” 이미 팔순이 넘은 첸리췬(錢理群)선생이 작년 연말, 다시 <루쉰선집(錢理群新編, 魯迅作品選讀)>과 평론집 <錢理群講魯迅>을 출간했다. 2015년부터 양로원에서 생활을 시작한 그는 2019년 부인과 사별했다. 부인과 같은 시기에 암진단을 받았지만, 치료는 받지 않고 있다. 팬데믹이 시작되고 한동안 사람들을 접촉할 수 없어 외로움에 […]

READ MORE

핵발전(원전)과 관련해서 이런 저런 논란이 있기에 관심을 가진 보통사람으로서 한마디 보태고 싶다. 세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나는 당사자로서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있다. 지금부터 하는 이야기는 그냥 남의 말을 듣고 떠드는 것이 아니라 내 경험과 관찰과 학습을 토대로 한 것이다. 그 학습이라는 것도 인터넷을 뒤져서 나온 일방의 주장에 근거한 자료를 들이대는 것이 아니다. 내 일상생활의 […]

READ MORE

연초 국가보안법의 위협속에 역사속으로 사라진 홍콩의 시티즌(眾)뉴스는 지난해 말 <이민분위기속의 홍콩정체성>이라는 토론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홍콩에 26년간 거주한 중문(中文)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인 미국인 인류학자 고든 매튜가 사회를 보는 가운데 각기 다른 배경의 중년 홍콩시민들이 홍콩의 정체성에 대해서 차담을 나누는 자리였다. 1841년 영국에 할양된 홍콩은 원주민인 소수의 농민과 어민을 제외하고, 중국 각지에서 모인 사람들이 다음 장소로 나가기 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