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 국제사회에서 추락하는 달러화
  • 어른이 된다는 것
  • 글로벌 금융 위기를 제대로 이해하기
  • 미국의 은행위기에서 중국이 얻는 반사이익
  • 커뮤니티 변천사: 1.0부터 3.0까지
       
후원하기
다른백년과 함께, 더 나은 미래를 향해

  Garzon Espinoza, 스페인의 경제학자로 좌파통합당의 대표이자, 연합정부의 소비자부처 장관이다 출처: Monthly Review, 2022년 7월판   소개의 변) 1972년 봄에 로마클럽이 ‘성장의 한계’라는 출판물을 통하여 기후변화와 생태위기에 대하여 경종을 울린 지 50년이 지난 현재에도 서방을 중심으로 한 인류사회는 여전히 우크라 분쟁 등 지정학적 패권싸움에 몰입하면서, 현하 행성지구에서 인류의 공멸이 눈앞의 심각한 주제로 다가오고 있다. 이번 […]

READ MORE

  마이클 제이콥스(Michael Jacobs)와 훌리아 리카즈(Xhulia Likaj)의 기고. Michael Jacobs는 University of Sheffield의 정치경제학 교수이며, Xhulia Likaj는 베를린의 Forum New Economy의 경제학자이다 출처: 프로젝트-심디케이트, 2022년 5월18일자   소개의 변) 1972년 봄에 로마클럽이 ‘성장의 한계’라는 출판물을 통하여 기후변화와 생태위기에 대하여 경종을 울린 지 50년이 지난 현재에도 서방을 중심으로 한 인류사회는 여전히 우크라 분쟁 등 지정학적 패권싸움에 몰입하면서, […]

READ MORE

  함자 리파트 후세인(Hamzah Rifaat Hussain), 현재 파키스탄의 인기높은 Indus News의 TV 앵커이며, 워싱턴 Stimson Center의 객원 연구원과 이슬라마바드 정책연구소의 책임 연구원을 지낸 바 있다 출처: CGTN 2022년 8월 7일자   캄보디아에서 열린 이번 제29차 아세안지역포럼(ARF)에서 아세안 회원국들과 더불어 한국, 중국, 일본(10+3개국)이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ARF는 성명을 통해 국제법을 준수하고 건설적인 대화와 협력을 촉진하는 동시에 빈곤과 […]

READ MORE

  쉬브샹카르 메논(SHIVSHANKAR MENON),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인도총리 Manmohan Singh의 국가안보보좌관을 역임한 전문외교관 출신이며, 현재 Ashoka University의 국제관계학 객원교수로 재직중이다 출처 : 포린-어페어즈, 2022년 8월 3일   세계는 질서의 재편과정에서 표류하고 있습니다. 초국가적 도전에 대한 국제시스템의 일관된 마지막 대응은 2009년 4월 G-20 런던의 정상회담에서 진행되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이들 국가의 지도자들은 또 다른 대공황을 피하고 글로벌 […]

READ MORE

소개의 변) 국제질서가 요동하는 가운데, 수출주도에 기반한 독일의 산업과 통상구조는 대한민국과 매우 유사하며 과거 배워야할 모델이었다는 점에서 독일에 미치는 우크라이나 분쟁의 후폭풍에 대하여 이를 분석하고 비판한 전문가의 상반된 2개 견해를 동시에 소개하고자 합니다. 참조로 한국처럼 저성장과 무역적자를 보이며 에너지의 배급제를 논의하고 있는 등 현재의 독일은 매우 심각한 경제의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첫째 칼럼은 2008년 금융위기 […]

READ MORE

  출처 : 글로벌타임즈 기획취재. 2022년 7월29일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 미국 및 독일을 포함한 주요 경제국들이 올해 상반기에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계속 강화하여 미국이 조작한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자본유출에 대한 주장을 효과적으로 반증함에 따라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투자의 가장 매력적인 대상으로 남아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 전염병으로 인해 공급망이 혼란에 빠졌지만 중국은 여전히 […]

READ MORE

   브래들리 블랭켄십(Bradley Blankenship), 헝가리에 거주하는 미국인 출신으로 동구권의 정치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자유언론인이다 출처: CGTN, 2022년 7월 18일자.   미국 달러는 한 세대 만의 강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 6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것이며 199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연준의 단호한 통화 개입은 약 40년 만에 미국경제를 뒤흔드는 고율(약9.0%)의 인플레이션에 […]

READ MORE

  폴 포스트(Paul Poast), 시카고대학의 정치학 부교수이자 국제문제위원회의 객원연구원이다 출처 : 포린-어페어즈, 2022년 6월 15일자   우크라이나 전쟁의 부수적 피해자 중에는 현실주의(Realism)라는 학파가 있습니다. 이 학파의 지적 전통은 국가이익의 추구가 무역개방, 국제법의 신성함, 민주주의의 미덕과 같은 높은 이상보다 우선한다고 주장합니다. 현실주의자들은 국가, 특히 강대국이 어떻게 세계정치에서 살아남고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하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현실주의는 러시아 […]

READ MORE

  출처: 글로벌 타임즈 사설 2022년 7월21일자   미국은 막무가내로 한국에 어려운 문제를 제기하고 답변시한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한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사전 협의와 조정도 없이 이른바 ‘Chip-4’ 동맹(미국, 일본, 한국과 대만)을 요구하면서 한국을 매우 심각한 딜레마에 빠뜨리고 있습니다. 워싱턴의 압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정부 소식통은 현재로서는 참가여부에 대해 답변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전합니다. 미국은 올해 […]

READ MORE

  스티븐 M. 월트 (Stephen M. Walt), 하버드 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좌교수로 포린-폴리시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출처: 포린-폴리시, 2022년 7월 12일자         필자가 휴가를 마치고 돌아오는 시점에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동으로 여행을 떠났습니다. 현시점이 미행정부의 외교정책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필자는 2020년에 바이든에게 투표했고 그가 당선되었을 때 한편으로 안도했지만, 이제는 […]

READ MORE

  출처 : 뉴욕타임즈의 “The Ezra Klein Show, 2022년 6월 7일 화요일       I’m Ezra Klein. This is “The Ezra Klein Show.” 오늘의 초대손님은 Thomas Piketty 입니다. 아마도 Thomas Piketty는 최근 가장 많은 곳에서 초청을 받는 유명인사 중 한 명인 것 같습니다. 그는 틀림없이 세계 최고의 경제 불평등에 대한 연대기를 저술한 학자입니다. 현재 일련의 저작을 통해 광범위한 공동저자들과 협력하여 매우 고된 작업인 국가 간 데이터 세트를 조합하여 상위 1%, 또는 0.1%, 심지어 0.01%까지 몰려들었던 엄청난 수입과 부를 편중을 고발합니다. 자본주의가 노동보다 부(자산)에 보상하는 […]

READ MORE

  찰스 케니(KENNY) & 스콧 모리스(MORRIS), 양인 모두 국제개발센터USAID의 책임연구원들이다 출처: 포린-어페어스, 2022년 6월 22일자   소개의 변) 작년 런던에서 있었던 G7 회의에서 바이든은 중국의 일대일로 BRI를 견제하기 위한 구상으로 B3W(Build Back Better- the world)구상을 밝히면서 40조 달러의 투자를 언급한 바 있으나 실제 현재까지 실행한 금액은 달랑 600만 불이었다. 올해 독일 G7 회의에서는 현실을 감안한 […]

READ MORE

  마이클 허쉬(Michael Hirsh ), 포린-폴리시( Foreign Policy ) 수석 특파원 출처: 포린-폴리시 2022년 6월27일자   소개의 변) 이번 스페인의 NATO 정상회담을 바라본 국제정치의 전문평론지 포린-폴리시 취재책임자가 작성한 솔직하고 직설적인 평론의 글을 소개한다. 그는 한마디로 중국을 도전대상으로 규정하면서 이제 돌이킬 수 없는 신냉전의 시대로 진입했다고 진단하면서도, 거의 같은 시기에 열렸던 상해의 BRICS 비즈니스 포럼에서 행한 시진핑 연설내용을 인용하며 인류의 평화시대에 대한 중국역할에 일말의 기대를 포기하지 않고 있다. 되돌이기 어려울 […]

READ MORE

  누리엘 루비니, Dr. Doom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New York University의 경제학 명예 교수이자 Atlas Capital Team의 수석경제학자이며 Roubini Macro Associates의 CEO이다. TheBoomBust.com의 공동설립자이며, 클린턴 행정부시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ouncil of Economic Advisers)위원과 국제문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냈고 국제통화기금(IMF), 미국연방준비제도(Fed), 세계은행(World Bank)에서도 근무했다 출처: 프로젝트-신디케이트, 2022년 06월29일     미국과 같은 주요 경제국이 연쇄적인 금융혼란을 동반한 경기침체로 접어들고 […]

READ MORE

  CNN 특별취재단 출처: CNN 2022년 6월 26일자   CNN_Seoul : 중국은 최근 세 번째이자 가장 진보된 항공모함을 진수하면서 강해진 해군에 대해 공식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현재까지 중국에서 가장 크고 가장 현대적이며 가장 강력한 항공모함인 Fujian은 중국이 해군을 세계최대 규모로 성장시킨 군사확장의 정점에 있는 80,000톤의 비장무기입니다. 전자기 방식의 출격지원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전투 시스템은 중국이 미국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항공기를 더욱 […]

READ MORE

  블라디미르 페트로프스키, 러시아 사회과학원 소속 극동연구조직의 책임자이자, 러시아 군사문제연구소의 정회원이다. 출처: CGTN, 2022년 6월 23일자   소개의 변) 대한민국의 새정부가 긴 호흡의 민족역사라는 방향을 잃고 국가주권의 이해를 방기한 채 군사조직인 NATO와 협력하고 G7 등 서방의 동맹체제에 일방적이며 종속적인 편입을 수용하는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 등은 6월 중순 SPIEF(페테르부르크 국제협력포럼)에 이어 지난 주의 BRICS 개최 등을 […]

READ MORE

  소개의 변) 대한민국의 새정부가 긴 호흡의 민족역사라는 방향을 잃고 국가주권과 이해를 방기한 채 군사조직인 NATO와 협력하고 G7 등 서방의 동맹체제에 일방적이며 종속적인 편입을 수용하는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 등은 6월 중순 SPIEF(페테르부르크 국제협력포럼)에 이어 지난 주의 BRICS 개최 등을 통하여 미패권과 서방중심의 단극체제에 대응하는 다자체제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속도를 더하고 있다. 이에 두 번에 걸쳐 BRICS […]

READ MORE

  작성 : 글로벌타임즈 특별취재단 출처 : 글로벌타임즈, 2022년 6월17일자     ‘러시아의 다보스’로 불리는 제25차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이 ‘새로운 세계의 새로운 기회’라는 주제로 지난 6월15일부터 개최되어 크렘린궁의 이해관계가 부각되면서 가중되는 서방의 제재와 압력에 직면하여 경제협력을 동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러-중 협력여부가 이목의 집중을 받고 있습니다. 크렘린의 핵심 파트너로서 베이징은 정치적 긴장으로 인해 서방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할 […]

READ MORE

소개의 변) 미러 간의 대리전인 우크라 분쟁을 배후에서 기획한 바이든 정부는 후폭풍으로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고 있는 큰 폭의 인플레 충격에 크게 당황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올해 11월에 있을 중간선거에서 연방 상하원 공히 다수석을 잃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트럼프 시대에 적용한 대중 수입품에 대한 일방적인 고율의 관세의 철회를 검토하고 있으나, 이럴 경우에 중국에 대한 탈공조화라는 […]

READ MORE

소개의 변) 격변하는 국제질서가 과연 미국이 의도하는 대로 가치동맹을 통하여 미패권이 다시 주도하는 신냉전구도(Uni-Pole)로 강화될지, 중국 및 주변국들과 대치하는 백중세의 양강구도(Dual-Poles)로 전개될지, 아니면 다자적 다극체제(multi-poles)로 전환될지 여부는 미중 당사자를 넘어 소위 중강(middle power)국가들의 위상과 역할에 달려 있다. 특히 핵심적인 중강국가군으로 분류되는 유럽의 독일과 프랑스, 중동에서의 이란과 터키, 아태지역에서의 호주 및 인도네시아 그리고 동북아에서 한국의 움직임이 매우 중요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