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백년연구원이 기획하고 진보적 학자 11명이 참여한 한국 사회의 경제, 외교안보, 교육 분야에 관한 보고서 『한국보고서 2018 북토크』 일시: 2018. 3. 28(수). 늦은 7시 장소: 마이크임팩트 11층 E룸(종로구 관철동 45-1 대왕빌딩, 종각역 4번출구) <한국보고서 책 판매 안내> 교보문고 경제 https://goo.gl/GgM5qk 외교안보 https://goo.gl/u9qe1T 교육 https://goo.gl/tQKz7b
READ MORE2018년 첫 백년포럼 행사가 2월 21일(수), 오후 2시~5시,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실에서 “전쟁의 세계화와 한반도 평화”라는 주제로 열렸습니다. 발제 : 캐나다 오타와대학교 미셸 초서도브스키 교수 사회 : 프레시안 박인규 대표 토론 : 동국대 박순성 교수, 다른백년 이래경 이사장, 민플러스 이정훈 편집기획위원
READ MORE사단법인다른백년은 12월 7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한반도 양국체제와 동북아데탕트’를 주제로 ‘2017 백년포럼 시즌3’을 열었다. 촛불혁명 1주년을 기념해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시나리오들‘의 두 번째 순서로 열린 이날 포럼은 포럼에서는 김상준 경희대 교수의 ‘양국체제’ 주장에 대해 이남곡 연찬문화연구소이사장, 김누리 중앙대교수, 이일영 한신대교수, 남문희 <시사인> 전문기자가 지정토론을 벌였다. 김 교수는 발제에서 “70년 분단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두 […]
READ MORE<통일뉴스>에서 지난 7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열렸던 백년포럼 ‘한반도 양국체제와 동북아 데탕트’를 크게 소개했다. 이를 전재한다.(편집자) 70년 분단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두 국가가 상호 영토와 주권, 정통성을 인정하고 관계정상화를 이루는 양국체제’를 반드시 경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상준 경희대학교 교수는 7일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사)다른백년 주최 ‘2017 백년포럼 시즌3’에서 “한반도의 미래가 반드시 해방 […]
READ MORE촛불혁명 1주년을 맞이해 사단법인 다른백년에서 백년포럼 시즌3 2번째 포럼을 개최합니다. ‘한반도 평화 구축 방안’이라는 다른백년 어젠다 시리즈의 일환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시나리오들 2nd-한반도 양국체제와 동북아 데탕트‘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양국체제’를 한반도평화의 해법으로 제시하는 김상준 경희대학교 교수의 발제에 대해 이남곡 소장(연찬문화연구소), 김누리 교수(중앙대학교), 이일영 교수(한신대학교), 남문희 전문기자(시사인)가 토론을 벌입니다. 일시 : 12월 7일 오후 3~6시 장소 :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
READ MORE6월 9일, 저녁 7시, 신촌 히브루스(☞여기)에서 ‘문재인정부, 성공할까: 19대 대선과 한국사회의 개혁‘을 주제로 2017 백년포럼 시즌2를 개최했습니다. 백년포럼 시즌2에서는 정한울 박사(여시재 솔루션 디자이너)가 ‘사회경제적 요인별 투표행태의 변화와 연속성’, 김상준 교수(다른백년 이사)가 ‘촛불혁명과 19대 대선의 역사적 위상’, 김동춘 교수(다른백년 원장)가 ‘19대 대선의 정치사회학’ 을 발표했으며, 토론은 참석자와의 현장토론으로 진행하였습니다.
READ MORE한국사회의 새로운 전환을 위한 담론을 모색하는 다른백년이 촛불 혁명 1주년을 맞아 마련한 집중 기획 <한반도 평화 구축 방안> 어젠다 시리즈의 일환으로 지난 2일 국회에서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백년포럼 시즌3의 첫 번째 행사이기도 한 이번 포럼에선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시나리오들’을 주제로 존 페퍼 미국 외교정책포커스 소장의 발제에 대해 백준기 교수(한신대), 이혜정 교수(중앙대) , 서보혁 교수(서울대), 이병한 박사(역사학)의 […]
READ MORE(사)다른백년은 연구, 의제 제기, 시민과의 소통 등 3개의 기둥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 가운데 시민과의 소통은 ‘백년포럼’을 통해 이뤄집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시즌제를 도입해 참신한 형식과 내용으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지난 3월 시즌1에서는 ‘시민의회’를 공론화시켰고, 지난 6월 시즌2에서는 ‘문재인정부의 개혁 방향’ 을 주제로 백년포럼을 열었습니다. 오는 9월 초, 또 다른 흥미로운 주제로 시즌3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많은 […]
READ MORE지난 3월, ‘시민의회’를 주제로 열렸던 백년포럼 시즌1의 영상 3편을 공유합니다. 올해부터 시즌제로 일신한 백년포럼은 신선한 구성과 현장 투표 등을 활용한 관객과의 소통으로 큰 호응을 받았습니다. 또한 시민참여 공론장으로서의 ‘시민의회’는 국회에서 관련법이 제출되는 등 파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오는 6월에는 ’19대 대선과 한국사회 개혁’을 주제로 백년포럼 시즌2가 열릴 예정입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
READ MORE“개헌 과정에서 촛불로 상징되는 민의를 수용하기 위한 법적 근거와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이번 법안의 취지입니다” 지난 3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백년포럼 시즌1의 첫 번째 포럼 ‘개헌, 시민의회법, 시민의회의 제도화’에 발표자로 나선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개헌과 같은 중요한 일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최근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산하에 시민의회(법안에는 ‘시민회의’)를 설치하는 […]
READ MORE백년포럼이 지난 15일이 열린 열번째 포럼 ‘다음세대가 꿈꾸는 민주공화국’을 마지막으로 올해의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그동안 백년포럼에 참여해 귀중한 의견을 주신 분들, 그리고 관심을 가져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내년에는 보다 새롭고, 참신한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일시: 12월 15일 오후 7시 30분 장소: 국민TV 지하카페(서울 마포구 합정동) 발제: 조성주(정치발전소 기획위원) 토론: 이수호(청년유니온 기획팀장) 10회 백년포럼 자료집
READ MORE제9회 백년포럼 사드 한국 배치와 한중관계 일시: 11월 1일 오후 7시 30분 장소: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211호 발제: 중국 북경대 교수 9회 백년포럼 자료집
READ MORE제8회 백년포럼 자료집_부분1 제8회 백년포럼 자료집_부분2 제8회 백년포럼 자료집_부분3 제 8회 백년포럼 역사의 귀환과 유라시아의 복원 일시: 9월 29일 오후 7시반 장소: 서울 마포구 합정동 국민TV 지하카페 발제: 이병한 박사 토론: 김상준 (경희대 교수)
READ MORE제 7회 백년포럼 사드배치와 한반도의 미래 일시: 8월 25일 오후 7시반 장소: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220호 발제: 정세현 전 장관
READ MORE87년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가 길을 잃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87년을 달궜던 민주화의 열기가 정치적 민주화를 달성했지만, 그 에너지가 사회경제적 차원의 실질적 민주주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적 민주주의가 후퇴하는 흐름도 뚜렷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미래 개혁의 방향성과 좌표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김상준 경희대 공공대학원 교수께서 “공존체제 : 잃어버린 30년 빠져나가기”라는 주제로 […]
READ MORE특별 4.13총선에 나타난 민심과 향후 정국 전망 일시: 2016년 4월 14일(목), 오후 2시~6시 장소: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토론: 김형준(명지대교수), 박상훈(정치발전소학교장), 서복경(서강대 연구교수), 윤희웅(오피니어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 강원택(서울대교수), 박성민(정치컨설팅 민 대표), 박형준(국회 사무총장), 이철희(국회의원)
READ MORE제 6회 백년포럼 97년 경제・외환 위기와 한국 경제의 진로 일시: 3월 31일(목) 오후 7시 30분~9시 30분 장소: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회관 211호 발제: 이동걸 (동국대 초빙교수) 토론: 유철규 (성공회대 교수)
READ MORE